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까사미아 북타워 설치 및 사용후기
    일상/꿀팁리뷰 2021. 12. 12. 21:31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[책이 많아졌다.]

    '2019'년 국민독서 실태조사'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4명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고 한다. 그리고 독서율 자체가 낮아진다고 하는데,,, 우리집은 아니다. 우리 집은 책을 참 좋아한다. 와이프가 책을 많이사고,,(읽는 것과는 별개로 ㅎㅎ ^^), 나도 책을 사는 것도 좋아하고, 궁금한게 있으면 일단 책을 사서 읽어보기 때문에 매년 책을 꽤나 많이 산다. 그래서 신혼 첫해가지난 지금.. 이렇게 책이 쌓이고 말았다. 이미 책장은 꽉찾고 안쪽에 무슨책이 있는지 알 수 없을 지경이 되었다. 이런 난잡함을 좀 정리하고 싶어 책장? 등등을 찾아봤는데,, 집에 책장을 또 놓기도 힘들고,. 비싸기도 하고.. 그렇다고 그냥 이대로 냅둘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.

    아마 우리집과 같은 상황을 겪는 사람이 꽤나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든다. 공간의 문제로 책을 사지 않고, e-book으로 대체해 책을 읽는 사람도 생기기도 하기는 하는데,,, 사실 책은 종이로 된 책을 읽을 때 '맛'?이 제대로다. 그래서 이북은 손이 잘 안가게 되고, 서점에 직접가서 책을 골라 사게 된다. 그럼 결국 도도리표. 다시 책을 둘 공간이 없다.

    이럴때 좋은 인테리어 제품이 있다. 바로 '북타워'다.

    [북타워!]

    네이버에 '북타워'를 검색하면 북타워로 불리는 스탠딩 선반이 나온다. 이렇게 일자로된 선반에 책을 놓는게 바로 북타워인데, 아마 '별로 수납이 안되고 별로일거다.'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꽤나 많을 것 같다. 하지만 결론적으로 먼저 말하면 수납의 양은 생각보다 많고, 공간도 차지하지 않는점, 마지막으로 저렴한 가격에 인테리어 효과도 있는 이 북타워는 정말 괜찮은 제품 같다.

    [까사미아 북타워]

    안성 스타필드를 가서, 구경을 하다가 까사미아 브랜드들을 구경하는데 북타워를 세일해서 팔고 있었다. 원래 북타워를 사려고 했었는데... 세일도하고 브랜드? 북타워를 저렴한 가격(139.000원, 30%할인)에 살수 있는 기회여서 바로 구매했다. 이 틀 후에 배송이 되어서 오늘! 조립을 하고 안방에 배치해두었다.

    조립방법은 굉장히 쉬었는데 하단 받침과 대를 연결하고, 중간 받치를 껴 넣으면 완성!!

    이렇게 2개로 나뉘어서 배송이 된다.
    조립은 정말 아주 쉽다.
    하단 받침과 기둥을 연결하때 약간? 어려울 수도 있는데, 이렇게 스트리폼을 활용하라고 설명서에 써있다.
    하지만,, 난 그냥 내 발을 이용 ㅜㅜㅎㅎ
    나사를 연결하고, 바닥보호 패드를 연결일단 1차적으로 끝!
    베이스와 기둥이 연결되면 세워놓고 이제 중간 중간 선반을 껴넣는다.
    일자로 넣어주고
    아래로 접어주면 끝!
    생각보다 튼튼

    위 방법처럼 조립은 정말 간단해서, 기사님이 오지 않더라도 여성분들도 혼자 조립이 가능해 보인다. 우리 부부는 안방에도 책을 놓고 싶어 안방에 북타워를 놓았다. 자 그럼 이제.. 책이 얼마나 들어가는지가 궁금할 것 같다. 사실 처음 북타워를 실제로 보고도,, 이게 뭐 들어가면 얼마나 들어가겠어?? 라는 생각이 사실 컸다. 하지만 책을 넣어보니 많이들어간다. 대략 50권의 책이 쌓여져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 최대 60권까지는 수납할 수 있을 것 같다.

    생각보다 많이 쌓여있는 책 (약 50여권), 인테리어 효과도 굿
    깔끔해진 기존 책수납장

    북타워에 대해 다시한번 정리하자면, 가격이 사실 비싸게 느껴질 수도 있다. 책수납장 10~20만원이면 큰 수납장을 구매하수도 있기 때문이다. 하지만.. 역시나 공간효율이 나오지 않는다. 집이 좁아진다. 그런것들을 생각한다면, 공간을 잘 활용해 다량의 책을 수납할 수 있다는 점에서! 북타워는 큰 장점이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된다. 우리집처럼 더이상 공간을 차지 하지 않게하고, 책을 수납하고 싶다면!! 북타워 추천드립니다. :)

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